반응형 해부학33 해부학 [근육] 근육 근육은 힘줄과 실을 통틀어 이르는 말로 생명체의 움직임을 담당하고 있는 기관입니다. 따라서 근육이 있는 생물을 동물이라 정의할 수 있습니다. 기능적으로는 자의적으로 힘을 주어 수축시킬 수 있는 수의근인 골격근과 자의적으로 수축시키지 못하는 불수의근인 내장근으로 구별할 수 있습니다. 구조적으로는 '가로무늬근'과 '민무늬근'으로 구별할 수 있는데 가로무늬근 섬유는 각각 결합 조직 섬유에 둘러싸여 있습니다. 이러한 조직 섬유가 모여 작은 다발을 이루고 이러한 다발들이 더 많이 모이게 된 형태가 바로 근육입니다. 근섬유는 다발의 형태로 콜라겐 섬유로 형성된 힘줄로 양 끝에서 묶여 뼈에 붙어있는 구조가 됩니다. 긴 힘줄이 뼈와 인접해 있는 곳은 마찰이 경감되기 쉽기 때문에 건초라는 주머니에 싸여 있습니다. .. 2023. 7. 10. 해부학 뼈와 골격 뼈 사람(인체)의 골격은 기본적으로 뼈로 구성되고 있는데 뼈는 동물들의 움직임을 지탱하는 단단한 연결 조직 기관입니다. 각각의 뼈는 뼈대를 구축하여 몸 안에 구조물들을 지지하고 부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백혈구와 적혈구를 생산하고 무기염류를 저장하며 근육과 함께 동물이 움직이도록 하는 역할도 합니다. 뼈는 다양한 크기와 모양을 가지고 있으며 복잡한 구조로 인대, 힘줄, 근육, 연골 등의 기관으로 서로를 지탱하고 보충한 상태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뼈는 수산화인회석이라하는 인산칼슘이라는 물질로 이루어져 있는데 강도가 단단하고 가벼운 합성 물질입니다. 이는 높은 압축강도를 가지고 있지만 낮은 인장강도를 가지고 있어 깨지기 쉽지만 자체 유기성분(콜라겐)을 갖고 있어 높은 탄력성으로 보안되어 있습니다... 2023. 7. 10. 해부학과 역사 해부학 정의 해부학이란 생명체 내부의 구조와 형태 등을 육안 혹은 관측 장비를 사용하여 관찰하고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대표적으로 인간의 삶과 직접적 관련이 있는 의학에 기초가 되는 뿌리역할을 하는 학문입니다. 일반적으로 해부학이라는 학문에는 인체, 동물, 식물해부학이 모두 포함됩니다. 해부학 종류 해부학은 관점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육안해부학(거시해부학)과 현미해부학(미시해부학)이 바로 그것입니다. 이중 거시해부학은 단어 그대로 특별한 관측 장비 없이 육안으로 관측 가능한 범위의 구조물들에 대한 학문인데 물리적인 절개 등의 방법을 사용합니다. 이와는 다른 개념인 미시해부학은 육안으로는 관찰하지 못하는 범위, 즉 특정한 장비(현미경 등)를 사용하여 관찰할 수 있는 범위의 극히 작은 해부.. 2023. 7. 9. 이전 1 ··· 3 4 5 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