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해부학33 해부학 [순환계] 인간의 순환계란 체내의 여러 가지 기관에 영양분과 산소 그리고 에너지 등의 전달과 공급을 당담합니다. 또한 생명을 보존하고 유지하는 활동으로 생기는 이산화탄소와 같은 노폐물 등을 배출의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기관들(호흡계, 비뇨계)의 통칭입니다. 혈액과 림프액 같은 체액의 흐름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대표적으로 심장을 꼽을 수 있습니다. 혈액의 순환은 심장의 운동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혈액이 순환되는 과정에서 산소의 운반, 영양분의 공급을 행하며 대사과정에서 생긴 노폐물의 제거, 체온유지, 호르몬의 운반과 같은 역할도 합니다. 자포동물 또는 편형동물과 같은 단순한 구조를 갖고 있는 동물의 경우는 위수강을 통해 외부와 직접적으로 물질 교환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별도의 순환계가 필요하지 않아 발달되있지 않습니다. .. 2023. 7. 16. 해부학 [소화계] 소화계 소화계를 풀어 설명하면 체내로 흡수한 음식물의 소화를 담당하는 기관계를 말합니다. 동물이 섭취한 음식에서 영양분 흡수를 목적으로 신체 내부에서 물리적, 화학적 작용이 일어나며 섭취한 음식물을 섞거나 혼합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이를 생체내에서 이용하는 작용을 합니다. 흡수된 소재는 그 생물에게 고유한 물질로 합성되거나 더욱 분해를 진행시켜 에너지가 배출되도록 하는데, 이 과정을 대사(물질 교대)라고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 소화계는 대사에 필요한 물질을 생체내에 받아들이는 작용을 하는 장기라고 볼 수 있습니다. 소화계에 해당하는 대표기관으로는 입, 위, 이자, 대장 등이 있습니다. 소화계는 음식물을 소화시킴으로써 에너지와 영양분을 이끌어내는 역할뿐 아니라 쓸모없는 부분을 내보내는 .. 2023. 7. 16. 해부학 [비뇨계] 비뇨계 동물의 체내에선 대사 활동이 활발하게 이뤄지게 되는데 이러한 활동의 결과물로 각종 노폐물들이 생성됩니다. 그렇게 생성된 노폐물들을 몸 밖으로 배설하는 작용을 담당하는 기관을 비뇨계라고 하며 노폐물의 배설 외에도 수분의 조절, 향상성 유지의 기능을 하는 중요한 기관입니다. 콩팥 신장이라고도 불리는 콩팥은 후복벽에 밀착되어 있는 기관으로 길이 10cm 너비 5cm, 두께 3cm, 무게 100g 정도입니다. 콩의 형태와 비슷하게 생긴 구조로 안쪽 테두리 중앙이 움푹 파여 있는데 이곳으로 혈관이 드나들며 요관이 나가게 됩니다. 이 부분을 신문이라 하고 콩팥의 상부 안쪽에는 삼각형의 장기가 덮여 있는데 이를 부신이라고 합니다. 부신은 내분비기관으로 비뇨계 장기와는 구별됩니다. 하지만 부신에서 분비되는 호르.. 2023. 7. 14. 해부학 [내분비계 - 2] 가슴샘 흉선 또는 가슴샘이라고 불리는 이 기관은 가슴의 정중앙 가슴뼈 가운데 위치해 있는 흉골의 바로 뒤쪽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면역계에서 중추 림프구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림프구란 무과립성 백혈구의 일종으로 면역에 관여하는 기능을 하며 자연 살해 세포(선천적 면역 기능), T세포(후천적 면역 기능)를 포함합니다. 가슴샘 안에서 후천 면역을 담당하는 T세포가 성숙합니다. 가슴샘의 구조는 출생시기 약 5cm 폭 2~5cm, 두께는 1cm 정도부터 사춘기에 가장 커졌다가 성인이 되면서부터 점차 퇴화하게 됩니다. 림프구와 상피세포 가슴샘세포로 이루어진 림프성 장기인 가슴샘은 호르몬을 분비하는 내분비선으로 좌우 둘로 나뉘어 제각기 평평한 삼각형 모양으로 되어 있습니다. 15세기 경에 크기와 기능이 최고점을 이.. 2023. 7. 14. 해부학 [내분비계 - 1] 내분비계 척추동물의 몸 안에서 호르몬을 분비하는 기관들의 모임을 내분비계라고 합니다. 호르몬은 이 내분비계에서 생성되는 일종의 화학물질로 신경전달물질과는 본질은 같지만 중추신경계를 중심으로 이동하는 신경전달물질에 비해 광범위하게 분비되고 혈액을 통해 넓은 범위에 오랫동안 작용하는 물질을 말합니다. 내분비계에서 만들어진 호르몬은 신체의 여러 기관으로 전달되어 그곳에서 각각의 호르몬의 기능으로 영향을 끼칩니다. 특히 물질대사와 생식 그리고 세포의 증식에 호르몬이 직접 관여하게 됩니다. 생식과 성장을 필요로 하는 모든 생물은 이론상 호르몬을 필요로 하여 생산합니다. 주요 내분비선으로 송과샘,뇌하수체, 갑상선, 흉선, 부신, 췌장 그리고 여성은 난소 남성은 정소를 말합니다. 이러한 기관들은 몸의 물질대사, 성장.. 2023. 7. 12. 해부학 [근수축] 근수축 근육의 수축을 나타내는 근수축은 근육의 근원섬유들을 이루는 마이오신 단백질(굵은 필라멘트)과 액틴 단백질(얇은 필라멘트) 간의 교차 결합으로 이루어집니다. 이때 마이오신또는 액틴섬유가 자체적으로 수축을 하는 것이 아닌 분자들이 서로 미끄러지며 활주가 일어나는데 이러한 이론을 필라멘트 활주이론이라고 합니다. ATP로 인해 교차결합이 생겨나고 이러한 현상이 반복되며 굵은 필라멘트가 얇은 필라멘트를 끌어당기게 됩니다. 이때의 과정들로 인해 근수축이 진행됩니다. 근수축 연구의 발달은 19세기 현미경이 발달과 도입으로 인해 활발하게 이루어졌습니다. 편광현미경으로 근육의 자세한 구조를 관찰하는 것이 가능해지면서 육안으로는 관찰하지 못했던 미시적 구조에 대한 관심이 이어졌습니다. 이때 현재의 Z선과 A밴드라 .. 2023. 7. 12. 이전 1 2 3 4 5 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