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슴샘
흉선 또는 가슴샘이라고 불리는 이 기관은 가슴의 정중앙 가슴뼈 가운데 위치해 있는 흉골의 바로 뒤쪽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면역계에서 중추 림프구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림프구란 무과립성 백혈구의 일종으로 면역에 관여하는 기능을 하며 자연 살해 세포(선천적 면역 기능), T세포(후천적 면역 기능)를 포함합니다.
가슴샘 안에서 후천 면역을 담당하는 T세포가 성숙합니다.
가슴샘의 구조는 출생시기 약 5cm 폭 2~5cm, 두께는 1cm 정도부터 사춘기에 가장 커졌다가 성인이 되면서부터 점차 퇴화하게 됩니다.
림프구와 상피세포 가슴샘세포로 이루어진 림프성 장기인 가슴샘은 호르몬을 분비하는 내분비선으로 좌우 둘로 나뉘어 제각기 평평한 삼각형 모양으로 되어 있습니다. 15세기 경에 크기와 기능이 최고점을 이루며 서서히 감소하게 됩니다
피질과 수질로 나눌 수 있으며 피질에서 T세포가 만들어집니다. 미성숙한 림프구를 T세포로 변화시키는 주요 임무를 가슴샘 이 맡지만 성인이 된 이후에는 그 역할이 둔화됨에 동시에 신체의 여러 면역기능에서 빨간불이 들어오게 됩니다. 그래서 가슴샘호르몬은 면역 및 호르몬 치료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가슴샘은 뼈의 성장을 촉진하는 기능도 하며 이 또한 사춘기 이후에는 점차 퇴화합니다.
부신
부신은 척추동물에 있는 콩 형태의 배설 기관인 콩팥 위에 각각 한 개씩 자리 잡고 있는 삼각형 모양의 작은 내분비선입니다.
인간의 부신은 평균 4.5g의 무게와 길이 50mm, 너비 25mm, 두께 5mm 정도의 크기로 안쪽은 수질로 이루어져 있고 바깥족은 피질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성인의 부신은 피질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 피질에서는 뇌하수체에서 분비된 부신피질자극호르몬의 영향으로 알도스테로이드호르몬(안드로겐, 코르티솔, 알도스테론)들을 만들어 냅니다. 한편 안쪽을 이루고 있는 수질에서는 아드레날린, 노르아드레날린 등을 만들어 냅니다.
부신 겉질
피질로 이루어져 있는 부신 겉질에서는 코르티솔과 알도스테론이 분비되는데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코르티솔의 기능은 스트레스에 대응해 분비되고 체내에 보관 하고 있던 에너지(포도당,아미노산)를 동원함으로써 당질의 대사에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또한 림프구 등의 면역계를 억제하는 등의 면역계 통솔에 주된 임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알도스테론은 몸안에 체액이 부족해지면 콩팥에서 레닌이라는 효소를 만들어 내는데 이것이 간에 작용하여 생성되는 안지오텐신의 자극에 의해 분비되고 신장에서 염분의 재흡수를 촉진하는 효과를 내는 역할을 합니다.
부신 속질
부신 속질에서는 스트레스에 대해 빠르게 반응하는 카테콜아민 호르몬이 분비되는데 아드레날린과 노르아드레날린이라고 합니다. 이 호르몬들은 혈압을 상승시키며 심장 박동수를 증가시켜 혈액순환을 증대시킵니다.
또한 간과 지방조직이 저장되어 있는 포도당과 지방산 등의 에너지를 동원해 근육이나 필요한 장기에 공급하는 역할을 해 말 그대로 인체를 전투태세에 돌입하게 만듭니다.
췌장
췌장은 소화, 분비 기관으로 이자라고도 합니다.
머리, 몸, 목, 꼬리 부분으로 나눌 수 있으며 머리 부분은 십이지장에 감싸져 있고 몸은 복부의 뒤쪽 바닥에 꼬리는 비장에 가까이 접해있습니다. 총길이는 15cm 정도입니다.
췌장은 소화요소와 탄산수소나트륨을 내포하고 있는 이자액을 분비하고 인슐린, 글루카곤, 소마토스타틴과 같은 호르몬도 분비하는 내분비샘입니다.
섭취한 혼합 음식물을 소화하는 데에 필요한 효소를 생성하는 대표적인 기관으로. 녹말분해효소, 단백분해효소, 지질분해효소, 핵산분해효소 네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자액이 없다면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3대 영양소 모두 흡수하기 어렵기 때문에 소화에 있어서 아주 중요한 장기입니다.
한편 호르몬은 이자의 '랑게르한스섬'이라는 세포군에서 분비됩니다. 이곳에는 알파세포와 베타세포가 있으며 각각 글루카곤과 인슐린을 분비합니다.
우리 몸에 혈당량이 낮으면 시상 하부가 이를 감지해 교감 신경의 자극으로 글루카곤이 분비되고 글루코겐을 포도당으로 분해되게 촉진하여 혈당량을 높이게 됩니다.
반대로 혈당량이 높으면 마찬가지로 시상 하부가 이를 감지해 부교감 신경을 자극 인슐린을 분비되고 포도당을 글리코겐으로 합성되도록 함으로 혈당량을 낮추게 됩니다.
정소
남성의 생식 기관으로 정자를 생성하는 역할을 하며 태아가 성장함에 따라 음낭 안에서 생성되고 자리를 잡게 됩니다. 타원형의 모양을 띄고 있고 좌우로 각각 하나씩 존재하며 백막이라는 결합조직에 감싸여 있습니다. 또한 정자를 생성하는 세정관이 붙어 있는데 이 정세관 내부에는 세포들이 겹겹이 겹쳐있어서 정소에 인접한 이 세포가 증식과 분열을 반복하며 정자가 되며 정세관의 가운데에서 완성된 정소를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
이렇게 생성된 정자는 정세관 부고환 그리고 수정관을 거쳐 요도로 보내집니다.
난소
여성의 생식 기관으로 크기는 길이 3cm, 너비 1.5cm, 두께 1cm 정도의 아몬드와 비슷한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여러개의 결합조직으로 형성된 인대가 난소를 움직이지 않도록 보호하고 있습니다. 난소는 백색의 섬유성낭에 덮여 있고 내부는 안쪽으로 섬유결합조직과 혈관인 수질, 난자가 자라는 곳인 바깥쪽의 피질 로 구분됩니다. 남성이 갖고 있는 기관인 정소의 정세관 같은 관은 존재하지 않으며 한개의 난자가 난포에서 자라나 터지는 것과 같이 배란이 되는 시기에 방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