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부학

해부학 [소장]

by 똑똑건강 2023. 8. 3.
반응형

소장은 위와 대장 사이에 위치한 소화기관입니다. 소장은 십이지장과 공장, 회장으로 구성돼 있으며 담낭에서 담낭즙이 분비되는 등 소화작용이 많은 곳입니다. 소화에 의해 생성된 영양소는 소장 내부의 돌출된 돌기를 통해 혈액 속으로 확산되어 전달됩니다.

 

 

 

5세 이상 인간의 소장은 길이가 약 7m입니다. 소장은 대장보다 4~5배 길지만 평균 두께는 7.6cm인 대장보다 2.5~3cm로 훨씬 얇습니다. 소장은 위에서 십이지장, 공장, 회장의 세 가지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소장 내부 점막은 고리 모양으로 뻗는 주름이 많고 표면에는 융모라는 것이 있는데 이 융모 사이에 장선이 열리면서 여기서 장액을 분비하게 됩니다. 위액으로 죽처럼 만든 음식은 소장을 통과하면서 소장벽에서 분비되는 장액과 간에서 생성되는 담낭즙과 함께 섞이게 됩니다. 소장은 소화운동을 하면서 영양소를 소화하고 흡수하는 중요한 부분입니다. 공장과 회장의 길이 비율은 2:3 정도이고 십이지장은 후복벽에 단단히 고정되어 있지만 공장과 회장은 복강 내로 길게 퍼져 장간막으로 복벽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장간막 길이가 15~25cm이기 때문에 공장과 현장 이동성이 높습니다. 공장과 부지가 합쳐져'유장 간막소장'이라고 불립니다.

 

공장은 회장보다 약간 두껍고 벽이 두꺼우며 공장 내 혈관 분포도 큽니다. 해부를 해보면 공장의 내용물은 텅 비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복강 안에서 둥글게 된다고 해서 이런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소장 내 점막은 원형으로 벗겨진 주름이 많고 주름 표면에는 길이 0.5~1mm의 점막 돌기가 밀집해 퍼져 있습니다. 점막 조직의 장선이 융모 사이에 열려 있고 여기에서 장액이 분비됩니다. 십이지장과 공장에는 회전 주름이 많지만 회장에는 거의 없습니다.

 

소장 점막에 발달한 림프 조직에는 두 종류가 있습니다. 하나는 지름 1~1.5mm의 고립된 림프절입니다. 장 전체에 퍼져 있는 하얀 돌기 같은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다른 하나는 지름 210cm의 집단 림프절입니다. 이것은 고립된 림프절 농도로 타원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막대의 장축이 장의 조임 방향과 일치하며 그 수는 15~30개 정도입니다. 장결핵이나 장티푸스에 걸리면 이지역에서 궤양이 발생합니다. 소장에는 운동기능, 분비기능, 흡수기능 이렇게 세 가지의 기능이 있습니다.

 

십이지장의 소화 기능

십이지장은 샘창자라고도 하며 소장의 앞부분을 말합니다. 가장 중요한 기능은 위에서 충분히 소화되지 않은 음식을 완전히 소화하고 그런 음식으로부터 영양소를 흡수하는 것입니다. 십이지장은 담낭즙과 이자액의 도움을 받아 화학적 소화를 담당합니다. 이자는 탄수화물 분해효소, 지질 분해효소, 핵산 분해효소, 단백질 분해효소를 모두 분비합니다. 아밀라아제는 탄수화물을 리파제는 지질을 트립신, 키모트립슨, 카르복시펩티다아제 등이 단백질 분해효소에 해당됩니다. 효소에 의한 소화가 화학적 소화인 반면 물리적 소화는 음식을 섞어 기계적으로 으깨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십이지장에서는 이러한 소화 효소와 점액을 섞기 위한 분할 운동이 이루어집니다. 또한 음식을 잘게 부수기 위해 계속 꿈틀거리기 때문에 이를 연동운동이라고 합니다.

음식물을 흡수하기 위한 특별한 구조로 십이지장, 공장, 회창의 길이는 각각 약 25cm, 2.5m, 3.5m정도입니다.십이지장의 길이가 매우 짧고 복막염이 자주 발생하기 때문에 음식은 십이지장에서 쉽게 빠져나갑니다. 따라서 흡수가 발생할 시간이 충분하지 않고 벽의 형태도 흡수에 유리하지 않습니다. 인체 흡수 과정의 약 90%는 소장에서 발생하고 10% 정도만 대장에서 발생합니다. 소장흡수는 대부분 공장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공장이 가장 중요한 흡수 장소입니다.

입 안에 들어온 음식을 소화했기 때문에 몸에서 흡수하지 않고 배출된다면 영양소의 손실이 많습니다. 따라서 소장 벽에는 잘 흡수되는 특수한 구조물인 미세융모가 있습니다. 미세융모는 작은 털처럼 생겼으며 흡수의 첫걸음은 소장벽에 영양소가 닿는 것입니다. 

 

반응형

'해부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포란 무엇인가?  (0) 2023.08.06
소화 효소  (1) 2023.08.05
해부학 [쓸개-2]  (0) 2023.08.02
해부학 [쓸개]  (0) 2023.08.01
해부학 [위]  (0) 2023.0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