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뇨계
동물의 체내에선 대사 활동이 활발하게 이뤄지게 되는데 이러한 활동의 결과물로 각종 노폐물들이 생성됩니다.
그렇게 생성된 노폐물들을 몸 밖으로 배설하는 작용을 담당하는 기관을 비뇨계라고 하며 노폐물의 배설 외에도 수분의 조절, 향상성 유지의 기능을 하는 중요한 기관입니다.
콩팥
신장이라고도 불리는 콩팥은 후복벽에 밀착되어 있는 기관으로 길이 10cm 너비 5cm, 두께 3cm, 무게 100g 정도입니다. 콩의 형태와 비슷하게 생긴 구조로 안쪽 테두리 중앙이 움푹 파여 있는데 이곳으로 혈관이 드나들며 요관이 나가게 됩니다. 이 부분을 신문이라 하고 콩팥의 상부 안쪽에는 삼각형의 장기가 덮여 있는데 이를 부신이라고 합니다.
부신은 내분비기관으로 비뇨계 장기와는 구별됩니다. 하지만 부신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이 콩팥의 기능 조절에 직접적인 관여를 하게 됩니다.
이들 장기의 정확한 위치는 복강속에서 복막강 바깥에 위치해 있으며 두꺼운 지방 조직 안에 들어가 있습니다.
포유류의 콩팥은 진화 과정에서 전신, 중신, 후신의 3단계를 거치는데 인간도 마찬가지로 태아기에 전신이 나타나지만 소실되며 중신도 나타나자마자 퇴화해 버립니다. 하지만 마지막의 후신은 발달하여 이것이 콩팥이 됩니다. 퇴화된 중신의 일부는 생식기 근처에 남아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콩팥의 내부 구조
콩팥은 100만개 정도의 네프론이라는 콩팥단위의 조직이 밀집해 있는 형태인데 네프론에 분포하고 있는 혈관과 함께 결합 조직의 피막으로 둘러싸여 있습니다. 네프론은 한쪽 끝에 신소체라는 구상의 구조가 있는데 이 신소체에서 가늘고 긴 관이 구불구불 뻗어 있는 형태를 띠고 있습니다. 관의 끝은 다른 네프론관과 함께 흐르며 굵은 관이 되고 그 끝은 신우로 열려 있습니다.
신소체는 지름이 0.2mm 정도의 구체인데 내부에는 세동맥에서 분기한 모세혈관이 실패 모양으로 들어 있으며(사구체) 이 것이 이중 막(보먼낭)으로 둘러싸여 있습니다.
사구체의 모세혈관은 그물 모양의 덩어리로 되어 있고 관벽 곳곳에는 작은 구멍이 나 있어서 그곳을 족세포 돌기가 막고있습니다. 보먼낭은 맹관의 끝에 홈이 생겨 발생한 것으로 안쪽과 바깥쪽의 두 겹의 막으로 형성되어 있습니다.
처음에는 단층 입방 상피인데 신소체의 성숙과 함께 바깥쪽 막은 단층 편평 상피가 되어 혈관이 드나드는 곳에서 구부러져 안쪽 막으로 이어집니다. 안쪽 막의 상피는 극단적으로 분화, 변형되어 사구체의 모세혈관에 붙어 있습니다.
정리하면 개개의 세포는 세포질의 변연부에서 많은 지상 돌기가 나와 그 끝이 모세혈관 구멍에 뚜껑을 덮듯이 부착하게 됩니다. 이세포는 많은 발을 가지고 있는데 그래서 족세포라고 합니다. 혈액 속의 체액 성분은 그 함유물질과 함께 사구체 모세혈관에서 여과에 의해 보먼낭의 두 겹의 막 사이로 스며져 나옵니다. 그때 족세포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는 아직 밝혀지지는 않았습니다. 보먼낭 바깥쪽의 막은 혈관이 드나드는 부분과 반대 지점에서 요세관에 이어져 있기 때문에 스며 나온 액체는 요세관으로 흘러들어 갑니다.
요관
콩팥이 배출한 오줌을 방관까지 운반하는 관을 요관이라 합니다. 요관은 신문 내부에서 시작이 되는데 그곳은 상당히 넓은 방과 같은 모양을 하고 있어 신반 또는 신우라 합니다. 요관의 전체 길이는 약 30cm 정도로 신문을 나와 후복벽을 밑을 향하며 방관 아래쪽에 도달합니다. 요관도 소화관 등과 마찬가지로 가장 안쪽층에 점막, 이어서 근육층, 가장 바깥층에 결합 조직으로 된 막이 있습니다. 점막은 이행 상피라고 하며 요관과 방관에서만 볼 수가 있고 특수한 세포 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이 점막에서는 소화관과는 다르게 세로 주름이 발달해 있는데 근육층은 소화관과 반대로 내종층과 외륜층으로 되어 있습니다. 일부는 외륜층 바깥에 외종층을 볼 수 있는 곳도 있습니다. 오줌은 이들 근육의 적극적인 작용에 의해 방광으로 보내집니다.
방광
방광은 골반강의 앞쪽에 위치해 있으며 콩팥에서부터 배출된 오줌을 담아두는 주머니 모양의 기관입니다.
앞쪽의 가운데 부분 상단엔 태아기의 요막관이 퇴화한 것이 붙어 있습니다.
방광 주위의 결합 조직 속에는 신경, 정맥망이 잘 발달되어 있고 방광을 받치고 있는 형태로 분포하고 있습니다.
방광저에는 좌우에서 두 개의 요관이 들어오며 중앙에서 하나의 요도가 나갑니다. 방광저를 내부에서 관찰하게 되면 요관과 요도의 열리고 닫히는 부위가 삼각형 형태의 관계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방광 삼각이라 합니다. 방광벽도 점막 근육층 외막의 3층으로 되어 있는데 점막은 요관과 마찬가지로 이행 상피이며 끊임없는 확장과 수축을 반복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근육층은 외종층과 외륜층 외에 가장 안쪽에 엷은 종근층이 있는데 내륜층은 방광저의 요도가 나가는 부분이 특히 두꺼우며 잘 발달해 있어서 이를 방광 괄약근이라 합니다.
요관은 방광벽을 비스듬히 관통하고 있는데 판은 없으나 방광이 확장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닫혀서 오줌이 역류하는 걸 방지합니다.
요도
노폐물을 배출하는 길인 요도는 남성과 여성이 전혀 다른 경로와 형태를 를 띠고 있습니다.
여성의 경우는 전체 길이가 3~4cm 정도로 여성의 질 안쪽 벽을 따라 직진하여 질 앞으로 열리는 구조입니다.
개구부 주위에 외요도 괄약근이 있습니다.
남성은 노폐물이 방광을 나오자마자 전립선 속으로 들어가게 되는데 전립선의 가운데를 관통하여 아래쪽 끝에 도달하면 45도 휘어져 음경의 요도 해면체에 들어가 음경의 아래쪽을 따라 나아가 귀두 끝을 향합니다.
따라서 전체 길이가 15~18cm로 여성의 경우 보다 길이가 긴데 음경에 이르기 직전까지는 약 3cm로 여성의 요도와 거의 같은 길이를 하고 있습니다.
음경 내부의 요도는 원래 생식물질을 내보내는 관인데 이것을 비뇨기가 빌려서 오줌을 내보냅니다. 남성의 외요도 괄약근은 전립선 바로 밑의 요도 주변에 있습니다. 요도의 점막은 이행 상피가 아니며 원래의 요도가 있던 부분에 있는 근육층이 있는데 음경 속의 요도에는 근육이 없습니다.
'해부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부학 [순환계] (0) | 2023.07.16 |
---|---|
해부학 [소화계] (0) | 2023.07.16 |
해부학 [내분비계 - 2] (0) | 2023.07.14 |
해부학 [내분비계 - 1] (0) | 2023.07.12 |
해부학 [근수축] (0) | 2023.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