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란?
인체해부학에서 정의하는 척추란 몸통의 뒤쪽에서 몸을 지지하는 기둥의 역할을 하는 구조물로 뼈로 이루어져 있으며 흔히 척주, 등뼈로 불립니다.
척추는 총 33개의 척추뼈로 구성되어 있는데 엉치뼈와 꼬리뼈 외에는 전부 척추원판에 의해 분리가 됩니다.
척추에는 척추관이라 하는 공간이 있으며 그 안에 척수를 둘러싸고 보호합니다.
척추뼈는 짧은뼈로 정의할 수 있으며 중심으로는 척추뼈몸통과 후상방으로 나와 있는 활 모양의 척추뼈고리가 있습니다. 또한 여러 돌기 등으로 구성되며 척추뼈몸통과 척추뼈고리에 둘러싸여 커다란 척추뼈구멍이 이루어져 있습니다.
각각의 척추뼈는 통일된 특징을 단정지을 수 없는데 그 이유는 각각의 척추뼈는 부위에 따라 특유의 형태를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목뼈는 전반적으로 두께가 얇고 척추뼈구멍이 크다는 특징이 있으며 특히 첫 번째 목뼈는 척추뼈몸통이 결여돼있고 고리 모양을 하고 있어 고리뼈 라고 합니다. 또한 두 번째 목뼈의 형태도 조금 다른 형태를 하고 있는데 몸통의 위쪽에 이빨과 같은 모양의 치아돌기가 거칠게 튀어나와 있으며 고리뼈는 이것을 축으로 해 머리뼈를 실은 채로 회전해 중쇠뼈라고도 합니다. 치아돌기는 고리뼈의 척추뼈몸통에 해당되는 것으로 이 돌기로 인해 중쇠뼈는 바닥에 앉아 있는 사람의 모습과 비슷한 모습의 형태를 하고 있습니다. 등뼈와 허리뼈는 밑으로 갈수록 커지게 되는데 엉치뼈는 5개가 합쳐지고 꼬리뼈는 작고 척추뼈구멍이 없습니다. 각 척추뼈는 근육분절과 근육분절의 사이에 위치해 구부리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고 척추뼈 사이에는 우리가 흔히 일컫는 척추디스크인 추간판이 존재합니다. 포유류 중에서는 목이 무척 긴 기린이나 목이 무척 짧은 멧돼지도 목뼈가 7개로 일정합니다.
척추 굽이
척추를 좌또는 우의 옆쪽방향에서 관찰하면 굽어진 곡선모양을 하고 있으며 곡선의 방향과 목뼈, 등뼈, 허리뼈 그리고 골반의 방향 과 척추의 부위가 일치한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옆에서 관찰 했을때 목굽이는 앞쪽으로 볼록한 모양을 하고 있으며 치아돌기의 꼭지부터 시작하여 두 번째 등뼈의 중간에서 끝납니다. 목굽이의 각도는 다른 척추의 굽이와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가장 작습니다.
등굽이는 목굽이와 반대로 뒤쪽으로 볼록한 모양을 하고 있으며 두 번째 등뼈의 중간부터 시작하여 12번째 등뼈 중간에서 끝납니다. 이때 7번째 등뼈의 가시돌기가 뒤쪽에서 가장 튀어나온 부분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허리는 뒤쪽으로 오목한 형태를 하고 있으며 마지막 등뼈부터 굽혀지기 시작해서 허리엉덩이각에서 끝납니다.
가장 아래쪽 척추뼈 3개의 굽이 각도가 위쪽 척추뼈 2개의 각도보다 훨씬 크며 남성보다 여성에서 굽이가 더 뚜렷합니다.
골만 굽이는 앞쪽으로 오목한 모양이며 허리엉덩이관절부터 시작하여 꼬리뼈의 끝에서 끝납니다.
등급이 와 골반 굽이는 태아 때부터 이미 굽이의 방향과 정도가 형성되어 성인까지 유지되는데 비해 목굽이와 허리굽이는 굽이의 방향이 태아기 때는 앞으로 오목한 모양을 하다가 출생 후 앞으로 성장함에 따라 볼록하게 변화게 됩니다. 목 굽이의 경우 아기가 목을 가누는 3~4개월부터 똑바로 앉을 수 있는 9개월 때까지 형성되며 허리굽이는 아기가 걷기 시작하는 12~18개월쯤 형성됩니다.
표면
앞면
앞에서 봤을 때 척추뼈 몸통의 너비는 두번째 목뼈부터 첫 번째 등뼈까지 점점 넓어지는 형태를 보이며 첫 번째 등뼈부터 네 번째 등뼈까지 몸통 너비는 약간 감소하다가 그 후로 다시 넓어지기 시작하여 허리 엉덩이각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 넓어지는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허리 엉덩이각 이후로는 너비가 급격히 줄어들며 뾰족한 꼬리뼈로 끝납니다.
뒷면
가시돌기 : 뒷면에서 척추를 보면 두정중선을 따라 가시돌기가 존재하는데 두 번째 목뼈와 일곱 번째 목뼈를 제외한 목뼈에서는 가시돌기가 다른 척추뼈에 비해 길이가 짧고 수평방향을 향해 돋아있으며 끝이 두 갈래로 갈라져 있습니다. 등뼈 같은 경우 윗부분과 중간 부분 그리고 아랫부분의 등뼈의 방향이 서로 다른데 윗부분의 등뼈는 돌기가 비스듬히 아래를 향하고 중간 부분 등뼈는 돌기가 수직에 가까우며 아랫부분 등뼈는 돌기가 수평에 가깝습니다. 허리뼈는 수평에 가깝고 허리뼈의 가시돌기의 간격은 확실하게 떨어져 있으며 목뼈는 허리뼈에 비해 간격이 좁고 등뼈의 경우 거의 닿아있는 형태를 하고 있습니다.
척추고랑 : 척추돌기 양편에는 척추고랑이라는 구조가 존재하며 등의 깊은 층 근육이 기시 하게 됩니다.
목뼈와 허리뼈는 척추판으로만 구성되어 얕은데 비해 등뼈는 척추판과 가로돌기로 구성되어 깊고 넓습니다.
관절돌기 : 척추고랑 옆에는 관절돌기가 위치해 있습니다.
가로돌기 : 가로돌기는 관절돌기에 비해 좀더 측면에 위치해 있으며 목뼈에서는 관절돌기보다 앞쪽에 뿌리보다 옆쪽에 위치하고 있고 등뼈에서는 가로돌기의 방향이 뒤쪽을 향한 모습을 하며 관절돌기의 척추사이구멍 뿌리보다 뒤쪽에 위치합니다. 한편 허리뼈에서는 관절돌기보다는 앞쪽에 그리고 척추사이구멍보다는 뒤쪽에 위치합니다.
옆면
목뼈와 허리뼈의 옆면과 뒷면을 구분하는 기준은 관절돌기이고 등뼈에서의 기준은 가로돌기입니다. 특히 등뼈의 옆면에는 중요한 구조물이 있는데 이는 갈비뼈의 머리와 만나 관절을 형성하게 됩니다. 좀 더 뒤쪽을 살펴보면 척추뼈사이구멍이 있으며 두 개의 척추뼈패임이 맞닿아 구멍을 형성합니다. 이구멍의 크기는 목뼈에서는 가장 작은 형태를 하고 있으며 밑으로 내려갈수록 크기가 점점 커져 마지막 허리뼈에 도달해서는 가장 커집니다. 이 구멍을 통해서 척추 신경이 지나가고 목뼈에선 가로돌기 사이로 등뼈와 허리뼈에선 가로돌기 앞으로 지나가게 됩니다.
'해부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부학 [신장] (0) | 2023.07.25 |
---|---|
해부학 [간] (0) | 2023.07.24 |
해부학 [ 뇌 ] - 2 (0) | 2023.07.22 |
해부학 [뇌] - 1 (0) | 2023.07.21 |
해부학 [호흡계] (0) | 2023.07.19 |